본문 바로가기

세상만사

우한폐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위험한 이유, 감염 예방 및 검사 방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위험한 이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현재(2020.02.02 기준) 환자 총 17,363명 중 사망은 362명으로 치사율이 5%미만으로 사스(치사율 9%)와 메르스(치사율 40%)보다 적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된지 불과 한 달하고 며칠밖에 안 되었고, 사람 간에 전염이 되며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어떻게 전염되나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파경로는 비말(침방울) 및 호흡기 분비물(콧물, 가래 등)과의 접촉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를 했을 때 공기 중으로 날아간 비말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거나, 손에 묻은 바이러스가 눈·코·입 등을 만질 때 점막을 통해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전염이 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사람 간 전염이 되나요?

중국 내 가족 간 감염 사례, 의료진 감염 사례, 국내외 감염 사례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우한시 내에서는 3~4차 감염까지 보고되고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백신이나 치료제가 있나요?

현재 알려져 있는 백신이나 치료제는 없으며, 치료는 증상에 따른 조치를 취하게 됩니다. 

 

 

 



 

염 예방 방법

사람이 기침, 재채기를 했을 때 공기 중으로 날아간 비말이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거나, 손에 묻은 바이러스가 눈·코·입 등을 만질 때 점막을 통해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전염이 되므로 마스크를 쓰는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외출 후 돌아왔을 때, 때때로 손씻기를 권장합니다.

 

 

마스크는 어떤 것을 써야 하나요?

일상생활에서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사용하는 마스크의 기준은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습니다.
WHO 권고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는 의심환자 진료 또는 이송 시 보건의료인(의료진, 이송요원 등)에 대해서는 KF94(N95) 또는 동급의 호흡기보호구를 착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마스크 사용 시 예방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일반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자주 교환하여 사용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감염 예방차원에서 주변 환경을 소독하고 싶은데 어떤 방법이 있나요?

환경소독제는 낮은 수준의 소독제로, 차아염소산나트륨(락스), 알코올, 폐놀화합물(phenolic coumpounds), 4급 암모늄화합물, 과산화물(peroxygen compounds) 등이 적절하며, 환경소독제 사용 시 희석배율, 접촉시간, 취급 시 주의사항 등 제조사 권장사항을 준수하셔야 합니다.
차아염소산나트륨(락스)을 사용할 경우 시중에 판매하는 락스의 농도를 확인하여 유효염소농도를 0.05% 또는 500 ppm으로 희석하여 사용하되, 희석방법, 희석 후 유효기간 등은 제조사 권고사항을 참조하셔야 합니다.

 

 

손소독제는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요?

손을 통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를 사용하여 손 씻기를 권고합니다. 다만, 손을 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한 손소독제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검사 및 진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진단법이 있는지요?

질병관리본부와 18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판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과 염기서열분석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최근 실시간 유전자 검출 검사법을 개발하여 더욱 신속히 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진단결과를 확인하는데 얼마나 걸리나요?

기존에는 1∼2일 소요되었으나, 1월31일부터 새롭게 개발한 실시간 유전자 검출 검사법으로 검사시간을 6시간*으로 단축하여 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검사진행에 소요되는 시간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검사비용은 얼마나 드나요?

현재까지는 질병관리본부와 18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진단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검사비용은 국가가 부담하고 있습니다.

 

 

중국을 방문한 후에 증상은 없지만 검사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나요?

증상이 없는 경우 검사를 받을 필요가 없으나, 감염병에는 잠복기가 있어 이후에 증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중국 여행 후 14일 이내 증상이 나타나면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 또는 보건소와 상담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별진료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선별진료소 현황(20년 2월 2일 18:00 기준)

34 서울 서초구 학교법인가톨릭학원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02-1588-1511

www.mohw.go.kr

 

 

발췌: 질병관리본부 자주하는질문(FAQ)